본문 바로가기

Swift59

[Swift] 가변매개변수 (Variadic Parameters) Swift 문법, Variadic Parameters 가변인자 사용법 Variadic Parameters 가변 매개변수 오늘은 스위프트 문법인 Variadic Parameters, 가변 인자, 가변매개변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Variadic Parameter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구체적인 그 의미를 구글 번역기 0urtrees.tistory.com 가변매개변수 (Variadic Parameters) 함수 파라미터 개수를 정적으로 정하지 않고 가변적으로 넘길 수 있게 해주는 swift의 문법 가변 매개 변수는 함수 내부에서 array 형태로 쓰이게 된다. 함수의 중복성을 줄여 줄 수 있다. 가변 매개 변수로 사용하고자 하는 매개변수 타입의 뒤에 '...'를 붙여서 사용한다. 함수마다 가변매개 변수는 .. 2021. 6. 13.
[Swift] class 키워드 vs static 키워드 [Swift] class func vs static func 타입 메소드 &타입 프로퍼티 알아보기 sujinnaljin.medium.com class 키워드 vs static 키워드 둘 다 하는 역할은 동일하게 property, method를 해당 클래스에서 정적으로 쓰이게 한다. 하지만 class는 하위 클래스에서 override가 가능하다는 점이 다르다. 단, property의 경우 무조건 Computed Property에만 class 키워드를 사용 가능하다. 또한 class 키워드는 struct나 enum 같은 override가 불가능한 value type에선 사용이 불가능하고 Class에서만 사용가능 import Foundation class A { static var name: String = .. 2021. 6. 2.
[Swift] ARC (Auto Reference Counting)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국내도서 저자 : 야곰 출판 : 한빛미디어 2019.10.01 상세보기 ARC (Auto Reference Counting) 매번 전달할 때 값을 복사해서 전달하는 값 타입(value type)과 달리 참조 타입(Reference Type)은 하나의 인스턴스가 참조를 통해 여러 곳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언제 메모리에서 해제되는지 중요 Swift에서는 메모리 사용을 관리기법인 ARC 사용 ARC는 값 타입인 class의 인스턴스만 적용 enum, struct는 value 타입이므로 무관 Objective-C에서도 사용 ARC vs Garbage Collection 기법 ARC Garbage Collection Reference Counting 시점 컴파일 시 프로그램 동작 중 (런타임 시.. 2021. 5. 31.
[Swift] where절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국내도서 저자 : 야곰 출판 : 한빛미디어 2019.10.01 상세보기 where절 2가지 용도 특정 패턴과 결합하여 조건 추가 타입에 대한 제약 추가 특정 패턴에 Bool 타입조건을 지정하거나 어떤 타입의 특정 프로토콜 준수 조건을 추가하는 등의 기능 프로토콜 익스텐션에 사용하면 특정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타입에만 extension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 import Foundation var array: [Int] = [1, 2, 3, 4, 5, 6, 7, 8] //값 바인딩, 와일드 카드 패턴 (num이 5이상일 때만 블록 실행) for num in array where num >= 5 { print(num) } /*결과 5 6 7 8 */ import Foundatio.. 2021.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