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51

[네트워크]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생기는 일 코딩교육 티씨피스쿨 4차산업혁명, 코딩교육, 소프트웨어교육, 코딩기초, SW코딩, 기초코딩부터 자바 파이썬 등 tcpschool.com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 주소 표시줄에 url 입력하고 엔터 웹브라우저가 url을 해석 URL이 문법에 맞으면 Punycode 인코딩을 url의 호스트 부분에 적용시킨다. HSTS (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 목록을 로드해서 확인한다. HSTS 목록에 있으면 첫 요청을 HTTPS로 보내고 아니면 HTTP로 보낸다. HSTS : HTTPS만을 사용해야 한다고 웹사이트가 웹브라우저에게 알리는 보안 기능 DNS 조회한다. DNS 요청 보내기 전에 먼저 브라우저에 해당 도메인이 캐시되어있는지 확인 없으면 로컬의 hosts 파일에.. 2020. 11. 2.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정규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중복을 없애서 이상 현상을 제거하고 하나의 릴레이션에 하나의 종속성만 표현되도록 하도록 릴레이션들을 분리하는 작업 1NF (제 1정규형) 릴레이션에 속한 모든 속성 값의 도메인이 원자값(Atomic value)로만 구성됨 2NF (제 2정규형) 1NF를 만족한다. 기본 키가 아닌 속성들이 기본 키에 대하여 완전 함수적 종속을 만족해야한다. 완전함수적 종속 : 결정자의 속성들 중 하나라도 없어지면 종속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EX) '학번', '과목명' -> '성적' 일 때, 학번과 과목명 중 하나라도 없어지면 종속성이 없어진다. 3NF (제 3정규형) 2NF를 만족한다. 기본 키가 아닌 속성들이 기본 키에 대하여 이행적 종속을 만족하지 않아야 한다. 이행적 종속 : A->B, .. 2020. 10. 26.
[네트워크] HTTP 메서드 HEAD 메세지 헤더, 즉 문서 정보를 취득한다. GET과 유사하지만 실제 문서가 아닌 문서 정보만을 요청한다. GET URL에 요청 쿼리를 같이 붙여서 전달함 주로 데이터 조회(Read)의 용도로 사용 URL에 쿼리가 그대로 노출 되기에 보안에 민감한 정보를 전달해선 안된다. EX) 포털에서 검색 기능 EX) URL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여 볼 필요가 있을 때 ​ POST GET과는 달리 파라미터 값들이 HTTP body에 넣어서 보낸다 URL에 정보가 노출되지 않기에 민감한 정보 전달 시 이용한다. 주로 갱신, 삽입, 삭제 등의 데이터를 변경해야될 때 이용한다. EX) 게시판 글 작성 PUT 데이터를 수정, 갱신 할 때 사용한다. POST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DELETE 서버의 데이터(파일)을 삭.. 2020. 10. 20.
[네트워크] 쿠키 vs 세션 ※참조 : 쿠키와 세션 개념 쿠키와 세션은 개발자 말고도 인터넷 사용자라면 누구나 많이 들어본 단어입니다. 하지만 개념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기에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일� interconnection.tistory.com HTTP 의 특징 connectionless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응답을 보내면 연결을 유지하지 않고 종료함 (연결을 재활용하려면 헤더에 keep-alive 설정해야됨) stateless : 또한 연결이 종료되면 상태 정보가 따로 저장되지 않아서 만약 웹사이트 로그인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하고 나서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면 로그인 정보가 유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약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쿠키, 세션 ​ 쿠키 (Cookie) 통.. 2020. 10. 20.